이재명 대통령이 11월 6일 강원도를 방문해 관·군의 산불 진화 장비 및 대응체계 전반을 점검하고, 동해안 산불 위험 지역을 직접 시찰했다.
이번 방문은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강조해 온 “초기 전력 대응 중심의 산불 관리 시스템” 구축 지시사항의 이행 상황을 직접 확인하기 위한 행보다.
■ 산림항공본부 방문…“초기 대응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강원 원주에 위치한 산림청 산림항공본부를 찾아 산불 진화 헬기·드론·차량 등 핵심 장비의 운용 현황을 점검했다.
현장 관계자들의 설명을 들은 이 대통령은 “산불이 발생했을 때 초기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며 “현장의 1차 책임을 명확히 하고, 즉각적이고 유기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산불 관련 예산과 사업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되, 산불 대응에 있어서는 ‘아깝다’는 생각 없이 전력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합동훈련 참관…“과잉일 정도로 조기 대응하라”
이 대통령은 이어 산림청과 국방부가 공동으로 실시한 **‘산불 진화 합동훈련’**을 참관했다.
훈련은 ▲헬기 레펠을 이용한 공중 진화, ▲드론을 활용한 정밀 진화, ▲헬기 물 투하 순으로 진행됐다.
훈련을 마친 뒤 이 대통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제1 책무”라며 “지나친 대응은 부족한 대응보다 100배 낫다. ‘과잉이다’ 싶을 만큼 조기 대응하라”고 거듭 당부했다.
또한 “산불은 한순간의 방심이 대형 재난으로 이어진다”며 “일단 발견되면 너무 심하다 싶을 정도로 대응하라”고 주문했다.
■ 동해안 상공 시찰…“국가가 직접 현장을 본다”
이 대통령은 현장 점검을 마친 뒤 산림청 진화 헬기에 탑승, 동해안 일대를 따라 강릉까지 시찰하며 주요 산불 위험 구역을 직접 확인했다.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이 동행해 과거 피해 지역과 복구 현황, 향후 산불 취약지 관리 계획 등을 보고했다.
이 대통령은 “예방이 곧 최고의 진화 전략”이라며 과학적 관제와 신속한 초동대응 체계 구축을 거듭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강원 방문은 단순한 점검이 아니라, ‘선제적 대응·현장 중심·과잉 예방’이라는 재난 대응 철학을 재확인한 행보로 평가된다. 국가가 직접 현장을 보고 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메시지는 매년 반복되는 동해안 산불의 상처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