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3특의 중심지’로서 국가균형성장을 선도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전북도는 13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자치권 강화와 특례 확대, 3특 추진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며 전북의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이날 행사에는 우원식 국회의장, 김병기 원내대표, 김태년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장,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등 주요 당·정 인사가 참석해 새 출발하는 균형발전 전략에 힘을 실었다.
전북도는 발표를 통해 5극3특 국가균형성장전략에서 말하는 ‘3특’의 중심지로서 전북의 위상을 강조했다. 특히 특례기반 지역으로서의 자격을 바탕으로 자치권 강화, 제도 개선, 산업 특화 전략을 동시에 추진하는 전북의 모델이 국가균형성장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전북특별법’을 기반으로 총 333개 특례를 확보한 상태다. 새만금고용특구, 농생명산업지구 등 4개 특구를 지정해 성장 동력을 확보했고, 고창에는 ‘사시사철 김치특화산업지구’를 조성해 절임배추 단지 구축과 기술이전 협약 등 지역소득과 산업을 연계한 대표 사례를 만들어 내고 있다.
더불어 전북도는 현재 재정·민생·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특별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국가보조금 차등 지원, 법인세 감면 등 재정특례 입법화를 통해 5대 핵심 산업 육성과 투자기반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타 특별자치시·도와 협력 체계를 이어가며 국무조정실·중앙부처와 특례 확대 논의를 병행하고 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지방이 스스로 성장 전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 그것이 진짜 균형발전”이라며 “전북이 기업이 먼저 찾아오는 정책 테스트베드가 되어 대한민국 균형성장의 표준 모델로 자리 잡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북의 ‘3특 전략’은 단순한 지역 개발이 아닌 지방 주도형 성장 모델을 제시하는 실험대다. 특례의 실효성이 충분히 확보된다면, 전북은 국가 균형발전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크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