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위성정보 활용·실증 분야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을 위해 국회의 전폭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27일 국정감사 현장 시찰 차 한화우주센터를 찾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 최민희 위원장 및 위원들과 만나 제주의 우주산업 경쟁력과 주요 성과를 직접 설명했다.
■ 제주, 우주산업 클러스터 ‘최적지’ 강조
제주도는 전파 간섭이 적고 적도에 인접한 지리적 장점을 내세웠다. 또한 △국가위성운영센터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지상시스템 △제주한화우주센터 △컨텍 지상국 등 민관이 함께 구축한 위성 관련 인프라가 집중되어 있어, ‘위성정보 실증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할 가능성을 강조했다.
오 지사는 “제주가 위성정보 활용·실증 분야 우주산업 클러스터로 지정된다면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를 완성하고, 우주시대를 선도하는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 “대한민국 우주산업 가치사슬 완성의 마지막 퍼즐”
오 지사는 이어 “위성(경남), 발사체(전남), 연구·인재양성(대전)에 이어 위성정보 분야는 제주가 맡아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가치사슬을 완성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회 과방위의 적극적인 협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민간 중심 우주산업, 제주에서 ‘성공 신호’
제주의 우주산업은 이미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하원테크노캠퍼스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22개 기업이 입주 의사를 밝힌 가운데, 지난해 12월 서귀포시 중문 앞 해상에서 전국 최초로 민간 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현재 도내 우주산업 종사자 146명 중 85명(58.2%)이 제주 현지 인력으로, 그중 71.8%는 연구·엔지니어 등 전문직 종사자다. 이는 우주산업이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11월 중 공식 건의 예정
제주도는 오는 11월까지 위성정보 활용 클러스터 지정 계획을 확정한 뒤, 우주항공청에 공식 건의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제주는 단순한 관광섬을 넘어 ‘우주산업의 관문’으로 도약하고 있다. 우주로 향하는 대한민국의 다음 발사대가 제주가 되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