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1일 오후,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와 만나 세계경제와 한국경제의 방향,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지속적인 저성장의 근본 원인은 양극화에 있다”며 “국가경제의 핵심은 포용성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포용성장이야말로 양극화를 완화하고, 장기적으로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해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러한 정책은 국가 전체적으로는 이익이 되지만, 단기적으로 손해를 보는 일부 집단의 반발로 실행이 어렵다”고 현실적인 어려움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또한 IMF와 세계은행 같은 국제금융기구들이 “포용성장이 국가경제에 중장기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연구를 더욱 활발히 진행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경제성장은 생산성 향상과 혁신이 핵심이지만, 그 기반에는 포용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 대통령의 견해에 공감했다. 그녀는 “내년 3월 태국에서 열리는 IMF 주최 국제 컨퍼런스에서 ‘포용성장’을 주제로 한 특별 세션을 마련하겠다”고 밝히며 협력 의지를 드러냈다.
세계경제가 불확실성 속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있는 지금, ‘포용성장’은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해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한국이 그 논의를 선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