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와 하버드대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 교수가 대한민국 청년 세대의 정의감과 가능성에 주목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정의로운 평화와 생태적 성장의 길’**을 함께 모색했다.
경기도는 3일 고양시 소노캄 고양 그랜드볼룸에서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회식을 열고, ‘더 큰 평화 – DMZ에서 시작하는 미래 길 찾기’를 주제로 생태·평화 중심의 지속가능한 미래 비전을 공유했다.
■ “평화와 생태, 미래 세대에 남겨줄 최고의 유산”
개회식에서 김동연 지사는 “DMZ가 회복한 평화의 가치를 인간의 세계로 확장해야 한다”며 “양적인 성장이 아닌 지속가능한 질적 성장, 그리고 세대 간 조화로운 평화를 실현하는 것이 미래 세대에 남길 수 있는 가장 큰 유산”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또 “DMZ 평화콘서트, DMZ 걷기대회, 에코피스포럼 등 경기도는 DMZ를 ‘평화의 기원지’로 바꾸는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며 “DMZ와 접경지를 생태와 평화, 경제와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 마이클 샌델 “평화는 세대 간 정의의 연장선”
개회식에는 김동연 지사와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 생태학자 최재천 교수, 도의원 및 공공기관장, 청년 등 약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조 세션은 샌델 교수의 강연으로 시작됐다.
‘세대 간 정의와 공동선의 관점에서 본 평화’를 주제로 한 그는 “정의로운 사회는 세대가 서로에게 책임을 지는 사회이며, 평화는 세대 간 정의가 확장된 형태”라고 강조했다.
샌델 교수는 청년 청중과 직접 질의응답을 주고받으며, “기후·생태 위기 시대일수록 공동선과 세대 간 책임의 윤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 김동연-샌델-최재천, ‘평화와 정의, 생태의 연결’ 자유토론
이어진 기조 대담에서는 김동연 지사, 샌델 교수, 최재천 교수가 ‘평화·정의·생태·세대의 관점에서 본 DMZ의 미래’를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김동연 지사는 “평화와 생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만드는 가장 강력한 원천”이라며 “기술과 인문, 자연과 인간이 함께 가는 미래가 진정한 평화의 길”이라고 말했다.
최재천 교수는 “요즘 젊은 세대를 ‘이기적’이라 비판하지만, 사실은 가장 정의감에 불타는 세대”라고 평가했다.
이에 샌델 교수도 “청년들은 새로운 생태 윤리의 희망을 품고 있다”며 “그들이 스스로 고민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사회가 계속 자극하고 독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불법계엄 사태 당시 젊은 세대가 기쁜 마음으로 민주를 지켜냈듯, 환경·정의·DMZ 문제도 ‘의무’가 아닌 ‘즐거운 참여’의 영역으로 확장될 것이라 믿는다”며 “정치가 해야 할 일은 바로 그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DMZ, 평화·생태·세대 정의가 만나는 미래 공간으로
경기도는 이번 포럼을 통해 지난 3년간 이어온 ‘더 큰 평화’ 담론을 정리하고, DMZ를 **평화·생태·세대 정의가 공존하는 열린 공간(OPEN DMZ)**으로 재정의했다.
도는 향후 DMZ 생태 복원, 평화관광,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DMZ를 미래 세대가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생명평화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에코피스포럼은 오는 5일까지 다양한 주제 세션과 전시로 이어진다.
DMZ에서 시작된 평화의 논의가 이제 ‘미래 세대의 정의’로 확장되고 있다. 김동연 지사와 마이클 샌델의 만남은 평화의 가치를 세대 간 연대와 윤리의 문제로 재해석한 순간이었다. 평화의 길, 그 출발점은 결국 ‘다음 세대를 위한 정의’임을 일깨워준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