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반도체 노광장비 기업 **ASML(에이에스엠엘)**이 12일 **‘ASML 화성 캠퍼스 준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이번 준공으로 화성시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한층 위상을 높이게 됐다.
■ 2,400억 투입한 첨단 캠퍼스…“수리·교육·지속가능성의 중심”
ASML은 2022년 11월 착공 이후 약 2년 만에 총 2,400억 원을 투자, 동탄2 도시지원시설 용지 약 1만6,000㎡ 규모의 부지에 ‘리유즈 앤 리페어(Reuse&Repair) 센터’, 글로벌 트레이닝 센터, 사무동 등을 완성했다.
특히 2019년 설립된 국내 첫 Reuse&Repair 센터 기능을 대폭 확장해, 국내 반도체 기업에 노광장비 수리부품을 공급한다.
이와 함께 경기도 내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반도체 산업 생태계의 완결성 강화와 글로벌 부품 이동 축소에 따른 탄소저감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트레이닝 센터를 통해 연간 2천 명 규모의 반도체 전문인력 교육이 가능해졌으며, 향후 산학연 협력과 과학캠프 운영 등 인재 양성의 거점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 “해외 직접투자의 모범사례”…국내 공급망 안정 기대
ASML 화성 캠퍼스는 ASML 본사가 해외에 직접 투자해 조성한 첫 글로벌 클러스터다.
이를 통해 반도체 노광장비 수리 부품의 국내 공급망 안정성과 기술 인력 육성을 동시에 실현할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준공식에는 크리스토프 푸케 ASML CEO, 최한종 ASML코리아 대표이사, 강감찬 산업통상부 무역투자실장,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 조승문 화성시 제2부시장, 페이터 반 더 플리트 주한 네덜란드대사, 배정수 화성시의회의장, 삼성전자·SK하이닉스 관계자 등 약 80여 명이 참석했다.
■ “경기도 반도체 허브 실현”…정부·기업 모두 기대감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축사에서 “ASML 화성 캠퍼스 준공은 경기도가 추진해 온 반도체 허브 전략이 현실화된 상징적 성과”라며 “ASML의 투자가 공급망 안정과 인재 양성 측면에서 세계적인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민선 8기 경기도가 ‘투자유치 100조 원+α’ 목표를 조기 달성한 시점과 맞물려 이번 준공의 의미가 더 크다”고 강조했다.
이에 크리스토프 푸케 CEO는 “경기도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 덕분에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완성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한국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화답했다.
■ ASML,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의 ‘절대 강자’
1984년 네덜란드 벨트호벤에서 설립된 ASML은 세계 유일의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생산 기업으로, 2024년 기준 전 세계 4만4천여 명의 임직원과 연 매출 약 43조 원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 법인인 ASML코리아는 1996년 설립돼 현재 화성, 이천, 평택 등지에서 장비 판매·유지보수·부품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경기도, ‘글로벌 반도체 벨트’ 구축 속도
경기도는 최근 3년간 ASML을 비롯해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온세미(Onsemi), 에이에스엠(ASM), 머크(Merck), 알박(ULVAC), 린데(Linde), 에어리퀴드(ALAM), 인테그리스(Entegris) 등 글로벌 반도체 소재·장비 기업의 투자 유치를 잇달아 성사시키며 ‘글로벌 반도체 혁신 클러스터’ 완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ASML 화성 캠퍼스의 완공은 단순한 외국인 투자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이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자립과 공급망 안정의 새로운 전환점이며, 화성이 명실상부한 글로벌 반도체 도시로 거듭나는 신호탄이 될 것이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