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글로벌 인증제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해법을 제시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11월 5일 서울 SETEC 컨벤션센터에서 해외인증 지원기관 협의체 및 글로벌 인증기관과 공동으로 ‘해외인증 트렌드 2025’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급변하는 글로벌 기술규제와 인증제도 환경 속에서 우리 수출기업이 선제적으로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화장품·식품·섬유 등 소비재 중심 산업의 해외 인증제도 변화를 집중 조명하고, 코트라·한국무역협회 등 수출지원기관의 지원사업을 종합 안내하는 등 실질적인 수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최근 해외 주요 시장은 환경·안전 중심의 기술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7년부터 섬유제품에 디지털 제품 여권(DDP) 제도를 도입하고, **사이버복원력법(CRA)**을 시행해 디지털 제품의 보안 인증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2026년 10월부터 식품과 화장품에 대한 할랄인증 의무화, 인도는 2026년 9월부터 기계·전기장비 등에 대한 BIS 인증 시행을 예고하는 등 신흥시장 역시 인증체계를 빠르게 강화하는 추세다.
행사 기조강연에서는 **성윤모 중앙대 석좌교수(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 수출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강화되는 통상규제 속에서 우리 기업은 기술기준 선제 대응, 공급망 다변화, 인증비용 절감 전략 등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전 세계가 환경과 안전을 이유로 기술규제와 인증요건을 강화하는 흐름에 있다”며,
“우리 기업이 복잡한 해외 인증 절차를 신속히 해결하고 수출에 성공할 수 있도록 맞춤형 해외인증 지원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기술규제는 장벽이자 기회다. 변화의 파도를 읽는 기업만이 글로벌 시장의 문을 더 넓게 열 수 있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