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로 인한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기업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7일 창원상공회의소에서 중부권(창원·함안) 기업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고, 현장의 어려움을 청취하며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 권역별로 찾아가는 수출 현장 간담회
이번 간담회는 김명주 경남도 경제부지사가 주재했으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경남지역본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경남지역본부 등 7개 관계기관과 도내 주요 수출기업들이 참석했다.
도는 이달 13일에는 김해·밀양·양산·거제 등 동부권, 18일에는 진주·통영·사천 등 서부권으로 순차적으로 현장을 찾아 수출기업의 애로사항을 점검할 예정이다.
■ “한미 관세 협상” 이후 산업별 영향 진단
이날 회의에서 경남투자경제진흥원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산업별 영향’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은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지만, 미국 소형 SUV 시장이 수입차에 의존하는 구조라 관세 인하의 직접적 타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자동차 부품 분야는 원가 상승에 따른 수리 수요 둔화로 다소 위축이 예상됐다.
조선업은 현재 수주 물량이 충분하나, 글로벌 경기 둔화로 신규 수주 감소 가능성이 제기됐다. 철강 산업의 경우 미국은 자국 생산능력 확대에 따라 수출 부진이 우려되며, 유럽 시장은 단기적으로 견조하겠지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 “관세·통상 이슈 대응 체계 시급”
경남도는 대외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신속 대응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철강 제품의 친환경 공정 전환 시범사업 ▲일반기계의 스마트·친환경 기술 도입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신흥시장 개척 등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 기업 지원 확대 약속
도는 간담회에서 수출기업들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수렴하고, ▲수출기업지원 특별자금 확대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강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수출 바우처 사업 ▲한국무역협회의 무역진흥자금 등 다양한 지원책을 안내했다.
김명주 경제부지사는 “철강 등 주력 산업은 경남 경제의 근간”이라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기업들이 보호무역 장벽에 막히지 않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는 지역 수출기업들에게 새로운 도전이지만, 경남도의 민·관 협력체계가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작동한다면 위기 속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