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0.9℃
  • 구름조금강릉 9.1℃
  • 맑음서울 4.6℃
  • 박무대전 3.5℃
  • 박무대구 5.5℃
  • 맑음울산 9.2℃
  • 맑음광주 6.6℃
  • 맑음부산 11.5℃
  • 맑음고창 3.5℃
  • 구름조금제주 13.1℃
  • 맑음강화 4.5℃
  • 맑음보은 -0.3℃
  • 맑음금산 1.1℃
  • 맑음강진군 10.8℃
  • 맑음경주시 4.8℃
  • 맑음거제 9.6℃
기상청 제공

정치

“이천도 반도체 클러스터로”…김동연, 산업용지 공급·인력양성 의지 표명

김동연 지사, 경기 동부 반도체 산업시설 확충과 인력양성 의지 밝혀

 

수십 년간 산업단지 조성에 제약이 많았던 이천 지역에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시설용지 공급의 길이 열렸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현장을 찾아 반도체 산업시설 확충과 전문 인력양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 김동연 지사, 이천 반도체 소부장 기업과 간담회

경기도가 추진 중인 ‘민생경제 현장투어’의 15번째 방문지로 김동연 지사는 이천시 ㈜유진테크를 찾아 반도체 소부장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김 지사는 “국토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자연보전권역 내 연접개발 지침을 18년 만에 개정했다”며 “이천 지역 산업단지 사업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40년 묶인 규제 풀려…산업단지 조성 ‘파란불’

이천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1983년 이후 일정 규모 이상의 공업용지 조성이 제한돼 왔다.
하지만 김 지사가 지난해 발표한 **‘경기동부대개발 추진계획’**을 계기로 규제 완화 논의가 본격화됐다.

 

경기도는 국토부와의 협의를 통해 올해 1월 ‘자연보전권역 내 연접개발 적용지침’ 개정을 이끌어냈다.
이 지침에는 수도권 동부 지역이 난개발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최대 30만㎡까지 산업단지 조성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기존에는 자연보전권역 내에서 최대 6만㎡까지만 산업단지 조성이 가능했지만, 개정 이후 여러 부지를 묶어 클러스터 형태로 최대 30만㎡까지 개발이 가능해진 것이다.

 

■ 여주 가남산단 클러스터 통과…이천도 검토 착수

경기도와 여주시는 올해 4월 ‘여주 가남 일반산단 클러스터 조성안’을 수도권정비위원회에 제출해 6월 심의를 통과했다.
이 사업은 오는 11월 산업단지계획 심의를 거쳐 내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천 역시 인근 여주 사례를 참고해 산업단지 클러스터 조성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 현장 기업들 “면적 제한 완화, 산업 경쟁력 강화의 계기”

이날 간담회에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협력사를 포함한 다수의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이 참석했다.

 

박진 비씨엔씨㈜ 전무는 “이천은 개발 제한이 많아 비효율이 컸는데, 이번 면적 확대는 산업 전반에 의미 있는 변화”라고 말했다.

또 김봉학 ㈜밸류엔지니어링 상무는 “전문 인력 충원이 어렵다”며 “중소기업도 참여할 수 있는 반도체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정일 테크센드포토마스크㈜ 대표는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는데 시설 확충에 제약이 많다”며 “이천이 첨단 반도체 산업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달라”고 건의했다.

 

■ 김동연 “직주락(職住樂) 실현, 기업 중심 지원 강화”

김 지사는 “인력양성 못지않게 이직률 완화와 근로환경 개선이 중요하다”며 “이천에도 주거·교통·인프라를 함께 갖춘 ‘직주락’형 산업클러스터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해외 진출을 추진하는 소부장 기업들이 **GBC(경기비즈니스센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공급자 중심의 행정이 아닌 기업 수요 중심 지원체계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천의 규제 완화는 단순한 산업단지 확대를 넘어 경기 동부권 균형발전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규제 개혁의 결실이 실제 투자와 고용 확대로 이어지려면, 행정 지원과 인력양성 정책이 함께 가야 한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