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재계 주요 총수들과 만나 한미 관세협상 이후의 경제 전략을 논의하며, 기업의 자유로운 경제활동 보장과 국내 투자 확대를 당부했다.
■ 재계 총수들과의 민관 합동회의 개최
이날 오후 2시부터 약 두 시간 넘게 대통령실 회의실에서 진행된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등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참석했다.
회의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국가안보실장, 정책실장, 경제안보비서관 등 정부 핵심 인사들도 함께 자리했다.
■ “기업이 경제의 첨병…정부가 든든히 뒷받침하겠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통상·안보 협상 과정에서 기업들의 역할과 헌신에 감사의 뜻을 전하며, “경제 문제 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기업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정부가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한 대미 투자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국내 투자가 위축되지 않도록 더욱 신경 써달라”고 요청하며, 특히 지방 산업 활성화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기업의 관심과 노력을 강조했다.
■ “노동과 기업은 한몸…사회적 대타협 필요”
이 대통령은 “노동 없이 기업이 존재할 수 없고, 기업 없이는 노동도 존립할 수 없다”며, 향후 고용 유연성과 사회안전망 강화를 주제로 한 사회적 대타협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는 지속가능한 성장 구조를 위한 노사 상생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 기업인 “미국시장 확대·국내투자 병행할 것”
참석한 재계 인사들은 “미국 시장의 불확실성이 완화된 만큼 대미 시장 진출 확대와 수출 다변화를 병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아울러 “국내 산업 생태계도 차질 없이 운영해 나가겠다”며 국내 고용과 투자를 병행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비공개 담화서 “지방 균형 성장·수출 다변화” 논의
비공개로 이어진 담화에서는 지방 균형 성장, 글로벌 공급망 변화, 수출시장 다변화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이 대통령은 “기업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의 방향이 되어야 한다”며, 기업들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경청하고 국민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 해법을 모색했다.
이번 회의는 단순한 경제협의 자리가 아니라, 정부와 재계가 한목소리로 위기를 기회로 바꾸려는 신호탄이었다.
특히 지방 투자와 산업 생태계 회복을 향한 대통령의 메시지는, 향후 정책 중심이 ‘균형 성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