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보건소가 지난 3월부터 10월까지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운영한 디지털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큰 성과를 거두며, 노년층의 건강 습관 개선과 만성질환 관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 내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50명을 대상으로, 허약체질 개선과 만성질환 예방을 목표로 진행됐다. 보건소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밴드·혈압계·혈당계 등 스마트 건강기기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했다.
간호사·영양사·운동 전문가로 구성된 건강관리팀은 어르신들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30분 이상 걷기 ▲제때 약 복용 ▲충분한 수분 섭취 등 개인 맞춤형 건강 미션을 제시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해 건강 습관의 형성과 지속적인 실천을 유도했다.
그 결과, 참여 어르신들의 주간 평균 걷기 일수는 5.8일에서 6.8일로 증가, 고혈압 조절률은 35.1%→83.5%, **당뇨병 조절률은 81.6%→91.7%**로 향상되는 등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참여자 한 어르신은 “처음엔 스마트기기가 어렵게 느껴졌지만, 보건소 직원들의 도움 덕분에 이제는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됐다”며 “몸도 마음도 한결 가벼워졌다”고 소감을 전했다.
조정호 광주시보건소장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가 어르신들의 생활습관 개선과 질병관리 능력 향상에 실질적인 효과를 보였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광주시는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관리가 필요한 참여자에게 방문 건강관리·영양관리·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연계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내년에는 신규 대상자 모집을 확대해 노년층 건강관리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AI와 IoT 기술이 어르신의 건강관리에 실질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기술이 사람의 따뜻함과 만나 ‘디지털 돌봄’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이정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