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연계한 ‘부산형 통합돌봄 체계’ 구축에 본격 나선다.
■ 내년 3월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 통합지원법’ 시행 앞두고 포럼 개최
부산시는 3일 오후 시청 대강당에서 '부산형 의료·돌봄 통합지원 정책 포럼’을 열고, 내년 3월 시행을 앞둔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응하기 위한 구·군 역할과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부산시가 주최하고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주관했으며, 시 사회복지국을 비롯해 구·군 통합돌봄 담당 부서장, 보건소장, 서비스 제공기관, 복지단체 관계자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 의료·요양·돌봄 통합 지원…부산형 모델 구축 논의
포럼은 ▲기조강연 ▲사례발표 ▲정책토론으로 구성돼,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연계·지원할 수 있는 **‘부산형 협력체계 구축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먼저 영산대학교 권현정 교수는 「부산형 통합돌봄은 구·군별로 어떻게 만들까?」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지역별 특성과 인구 구조를 고려한 맞춤형 통합돌봄 모델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광주 북구청 이진선 팀장이 ‘의료·돌봄 통합지원사업 추진 사례’를 발표하며 보건·의료 연계 체계 구축, 조직 구성 과정, 현장 적용 성과를 공유했다.
■ “부산, 함께돌봄” 실현 위한 정책토론
정책토론은 신라대학교 한지나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토론에는 ▲김태석 부산시 복지정책과 주무관 ▲강숙경 건강보험공단 부산·울산·경남본부 팀장 ▲안여현 해운대구 보건소장 ▲장지현 부산연구원 박사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부산, 함께돌봄’ 추진 방향 ▲의료·돌봄 협업체계 구축 ▲보건소 중심의 돌봄 연계 전략 ▲지역사회보장계획과의 통합방안 등을 논의했다.
■ 부산형 돌봄통합추진단 출범…현장 컨설팅·교육도 확대
시는 지난 10월 **‘부산형 돌봄통합추진단’**을 출범(단장: 시 행정부시장)하고 의료·돌봄·요양·주거 등 4대 서비스를 통합 연계할 방안을 마련 중이다.
추진단은 6개 반, 21개 팀으로 구성돼 10월 30일 1차 회의를 열고 실질적 연계 방안을 모색했다.
또한 부산시는 부산사회서비스원·한국보건복지인재원과 협력해 올해 1~10월 동안 구·군 및 읍·면·동 담당자를 대상으로 15회에 걸친 통합돌봄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했으며, 향후 **현장 자문(컨설팅)**도 이어갈 계획이다.
■ “시민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정태기 부산시 사회복지국장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부산형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이 더욱 내실 있게 추진되길 바란다”며 “시민이 살던 곳에서 건강하고 존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촘촘한 돌봄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안녕한 부산’**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