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내년도 지역 핵심 현안사업 추진을 위해 429억 원 규모의 국비 증액을 국회에 공식 건의하며 재정 확보전에 돌입했다.
■ 제주도, 2026년 주요 현안사업 429억 원 증액 요청
제주도는 5일 2026년도 주요 사업 12건에 대한 국비 지원 확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건의는 국회 예산 심의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맞춰 진행됐으며,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이날 국회 본관에서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을 만나 주요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여야의 협조를 요청했다.
■ 전국체전·1차산업·관광 인프라 등 핵심 현안 집중
제주도는 특히 12년 만에 제주에서 개최되는 2026년 전국체육대회와 전국장애인체육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국비 증액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현재 156억 원(시설보수 90억, 대회운영 66억)을 편성했지만, 제주도는 경기장 73개소의 개보수와 개·폐회식 등 대회 운영비를 감안할 때 56억 원을 추가 확보한 212억 원(시설보수 110억, 대회운영 102억) 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신규사업 6건, 지역경제 활력 위한 전략투자
이번 건의에는 제주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6건도 포함됐다.
-
제주 농산물 스마트가공센터 건립 (38억 원)
-
제주수산물 활어차 운송비 지원 (35억 원)
-
AI 기반 관광 서비스 디지털 인프라 구축 (40억 원)
-
서귀포권 거점 위판장 현대화 (10억 원)
-
제주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구축 (20억 원)
-
제주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설치 (11.3억 원)
이들 사업은 지역 농수산업 경쟁력 강화와 관광산업 디지털 전환,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등 도민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된 핵심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 계속사업 5건, 문화·환경·에너지까지 포괄
제주도는 이와 함께 기존 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계속사업 국비 지원도 요청했다.
-
공공 공연예술연습공간 추가 조성 (30억 원)
-
해녀의 전당 건립 (6.5억 원)
-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개최 (10.7억 원)
-
제주형 생태계서비스지불제 확대 (10억 원)
-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 개최 (5억 원)
이들 사업은 문화예술 진흥, 환경보전, 탄소중립 산업 기반 조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도민 체감형 국비 확보에 총력”
오영훈 지사는 “제주는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재정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도민 삶에 직결된 사업들이 국회 예산 심사 과정에서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초당적 협조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에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제주의 주요 현안과 민생 사업들을 면밀히 검토해 필요한 부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 국비확보단 구성…총력전 예고
한편, 제주도는 지난 10월 제주도의회와 공동으로 **‘2026년 국비확보단’**을 꾸려 33개 사업, 총 846억 원 규모의 국비 확보를 목표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도는 이번 주부터 예결특위를 비롯한 국회를 집중 방문하며 예산 증액을 위한 전방위 설득전을 이어갈 계획이다.
제주는 관광·농수산·에너지·공공의료 등 전방위 산업 전환을 추진 중이다. 이번 국비 확보전은 단순한 예산 요청이 아니라, 제주의 미래 성장축을 다시 세우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