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정부 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상황을 점검하고 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했다.
행정안전부는 11월 6일 오전 8시 30분,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5차 회의를 열어 정보시스템 복구 현황과 향후 복구 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총 709개 시스템 중 676개(복구율 95.3%)를 복구 완료했으며, 모든 1등급 핵심 시스템이 정상화됐다. 현재 2~4등급 시스템의 복구율도 95%를 넘어섰다.
지난 10월 31일에는 ‘정보공개시스템’이 복구되어 국민이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정보를 온라인으로 청구하고 열람할 수 있게 됐다. 이어 ‘119소방현장통합관리시스템’도 복구되어 재난 현장에서 출동한 소방 인력과 자원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면서 현장 대응력이 크게 향상됐다.
특히, 국민이 생활 속 안전 위험 요인을 신고할 수 있는 ‘안전신문고’가 11월 5일부로 복구되면서 국민 생명·안전과 직결된 1·2등급 시스템이 모두 정상 가동 중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11월 6일부터 위기경보 단계를 ‘경계’로 하향 조정하고, 대응체계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위기상황대응본부로 전환하기로 했다.
남은 시스템에 대해서도 복구가 신속히 이뤄질 전망이다. 대전센터에서 복구 중인 693개 시스템은 11월 20일까지 완료,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 시스템은 12월까지 인프라 구성 및 프로그램 이관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민 생명·안전과 직결된 주요 시스템이 모두 복구되며 위기경보를 하향하지만, 모든 시스템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며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정부 정보 인프라를 근본적으로 재설계해 국민이 신뢰하는 AI 기반 디지털 정부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데이터의 흐름은 곧 행정의 생명선이다. 이번 복구를 계기로 안정적이고 신뢰받는 ‘디지털 행정 안전망’ 구축이 절실하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