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청이 핵융합에너지 산업의 기술 동향과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주제로 한 ‘신산업전략 아카데미’를 개최했다.
12일 열린 이번 아카데미는 **‘핵융합에너지의 기술현황과 핵융합에너지 구축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새만금개발청을 비롯해 전북특별자치도, 새만금개발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주요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특강에서는 핵융합에너지의 원리와 글로벌 연구개발 동향, 그리고 상용화 이후 산업적 파급력과 국가 에너지 전략 내 핵심 역할 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다. 정부가 추진 중인 핵융합 연구시설 구축사업의 개요와 경제 활성화 효과도 소개됐다.
전문가들은 특히 새만금이 차세대 청정에너지와 첨단산업 연구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임을 강조했다. 이미 새만금에는 에너지·소재 분야 연구기관이 입주해 있어 기초연구 기반이 탄탄하며, 넓은 부지와 안정적인 전력·냉각수 공급 인프라를 갖춘 점이 강점으로 꼽혔다.
또한 새만금은 도로·철도·항만·공항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국가 교통 허브이자, RE100 기반의 청정에너지 인프라를 보유한 국내 유일의 과학기술 실증형 복합산업단지로 평가받는다. 특히 2012년부터 군산시에 자리한 플라즈마기술연구소는 향후 핵융합 연구 확장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홍남 새만금개발청 차장은 “이번 아카데미가 청정에너지로 자립하는 미래지향적 새만금 조성의 중요한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며, “새만금이 핵융합 에너지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차세대 에너지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핵융합은 인류가 꿈꾸는 ‘완전한 청정에너지’로 불린다. 새만금이 그 기술을 품는다면, 이는 단순한 지역 개발이 아닌 대한민국 에너지 혁신의 전환점이 될 것이다. 정책적 지원과 과학 인프라의 시너지가 실현될 때, 새만금은 미래 에너지 수도로 우뚝 설 것이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