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가 **제86주년 순국선열의 날(11월 17일)**을 맞아, 일제강점기 일본 경찰에 의해 검거된 재일한국인 항일운동가들의 실체를 보여주는 일본 공문서 자료를 새롭게 발굴·공개했다.
이번에 확인된 자료는 일본 국립공문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검거색인부(檢擧索引簿)’와 ‘검거인명부(檢擧人名簿)’**로, 1932년부터 1945년까지 학생운동, 사회주의 운동, 반제국주의 운동 등에 참여하다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검거된 한국인들의 명단과 활동 내역이 담겨 있다.
■ 일제의 정치사상 탄압 기록, 601쪽 분량으로 확인
일본은 1911년 경시청 내에 **특별고등과(特別高等課)**를 신설하고, 1928년에는 전국 각 부현에 해당 조직을 설치해 자유주의·사회주의 운동을 탄압했다.
이번에 공개된 두 자료는 당시 도쿄 경시청 산하 경찰서에서 체포된 인물들을 정리한 총 601쪽 분량의 문서다.
경시청 특별고등과가 직접 편철해 관리했으며, 검거자 인명, 본적, 직업, 학력, 검거일·석방일·구류일 등이 기록되어 있다.
-
‘검거색인부’(269쪽) : 1933~1937년 검거된 한국인 134명 정보 수록
-
‘검거인명부’(332쪽) : 1932~1933년, 1940~1945년 검거된 한국인 191명 기록
■ 항일운동 참여 한국인 261명 실명 확인
국가보훈부는 이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6,000여 명의 검거자 중 항일운동 관련 혐의로 체포된 한국인 261명의 인명정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복 기록과 동일인 반복 검거 사례를 제외한 수치로, 일본 내 미서훈 독립유공자 발굴 및 포상에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전망이다.
자료에는 검거자 인적사항뿐 아니라 활동 단체나 운동 형태 등 간략한 활동 이력도 포함되어 있어, 당시 일본 경찰이 어떤 인물을 주된 탄압 대상으로 삼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독립운동사 연구의 결정적 사료”…전문가 평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신 교수(수형제도 연구 권위자)**는 “이번 문서는 도쿄 경시청 관내에서 사회운동 관계로 체포된 인물들의 명단을 정리한 것으로, 체포와 석방 과정, 유치 기간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며 “독립유공자 발굴과 포상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했다.
■ 보훈부 “일본 내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 지속할 것”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이번 자료 발굴은 일본 내 독립운동사를 복원하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일본 경찰 자료 등 관련 문서를 지속 수집·분석해 한 분이라도 더 많은 독립유공자를 발굴·예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보훈부는 지난해에도 일본의 **‘치안보고록(治安報告控)’**을 공개하며 옥고 사실이 확인된 이배함(건국포장, 2024) 등 17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 바 있다.
이번 문서 공개는 단순한 사료 발굴이 아니라, 일본 내 항일운동의 구체적 실체를 복원하는 역사적 전환점이다.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들’의 흔적이 이제야 빛을 보게 된 만큼, 정부의 지속적 자료 수집과 국가적 예우 복원 노력이 이어져야 할 시점이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