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은 10월 25일 동남아 지역 공관장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캄보디아 우리 국민 취업사기·감금 피해 사건을 비롯한 동남아 지역 내 초국가범죄 대응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 정기홍 재외국민보호·영사 담당 정부대표, 박일 캄보디아 내 재외국민보호 정부대표, 외교부 관련 실·국장, 그리고 **동남아 12개 재외공관(베트남, 태국, 라오스, 필리핀, 말레이시아, 미얀마,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아세안, 시엠립, 세부)**의 공관장들이 참석했다.
조 장관은 **10월 23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 ‘초국가범죄 대응 관계장관 긴급회의’**에서 대통령이 지시한 바와 같이, ‘초국가범죄 특별대응본부’ 설치를 언급하며 “마약, 스캠, 사이버도박 등 초국가범죄에 관계부처가 총력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동남아 각국 공관은 주재국 정부에 우리 정부의 강력한 초국가범죄 대응 의지를 적극적으로 전달하고, 현지 당국과의 공조체제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대사관의 현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사건·사고 담당 영사, 행정원, 영사협력원 등 인력 증원을 추진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참석자들은 현지 외교·정보·치안 당국과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정보 공유와 공동 단속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범죄 조직이 단속을 피해 인접국으로 이동하는 **‘풍선효과’**에 대비해, 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다각적 공조 체계도 함께 마련하기로 했다.
조현 장관은 마무리 발언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우리 국민 보호이지만, 동시에 중장기적 외교 전략 역시 중요하다”며, “역내 국가들과의 다층적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국민을 섬기는 진정성 있는 외교부로 거듭나야 한다”고 당부했다.
초국가범죄가 국경을 넘어 확산되는 시대, 외교의 역할은 단순한 협의가 아닌 ‘실질적 보호’다. 현지 공관의 긴밀한 대응이 국민 안전의 최전선이 되어야 한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