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건강/보건

보건복지부, ‘2026 장애인일자리 사업설명회’ 개최…참여자 2,300명 확대

2026년 장애인일자리 지원대상 2천3백 명 확대(3.4만 명→3.6만 명)

 

보건복지부가 10월 31일, ‘2026년 장애인일자리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내년도 장애인 공공일자리 사업의 확대 계획을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서울 용산구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열렸으며, 전국 지방자치단체 장애인일자리 담당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 장애인일자리 지원사업, 2026년 3만 5,846명으로 확대

보건복지부는 장애인의 사회참여 촉진과 소득보장, 직업경험 제공을 위해 2007년부터 장애인일자리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26년 정부예산안 기준으로 장애인일자리 지원 규모는 올해(3만 3,546명)보다 2,300명 늘어난 3만 5,846명으로 확대된다.

 

사업은 ① 일반형일자리(전일제·시간제), ② 복지형일자리, ③ 특화형일자리(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 등 3개 유형으로 구분해 운영된다.

 

■ “당신도 꼭 필요한 사람” — 수상자들의 진심 어린 소감

이날 행사에서는 장애인 일자리 복지 향상에 기여한 유공자에게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이 수여됐으며, 우수 참여자와 우수 일자리 사례에 대해 보건복지부 장관상과 한국장애인개발원장상도 전달됐다.

 

장관상을 받은 한 참여자는 “장애인일자리는 단순한 고용정책이 아니라 장애인이 ‘일의 주체’로 사회에 참여하고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소중한 통로”라며, “이 사업은 ‘당신도 꼭 필요한 사람’이라는 메시지를 전해주는 따뜻한 제도”라고 말했다.

 

■ ‘읽기 쉬운 자료 감수’ 등 새로운 직무 도입

복지부는 장애 특성과 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직무 개발도 지속하고 있다. 2026년부터는 ▲‘읽기 쉬운 자료 감수’ ▲‘홍보 지원 업무’ ▲‘장애인 편의시설 모니터링’ 등 3가지 신규 직무유형이 복지형일자리에 추가된다.

 

또한 국정과제인 **‘심한 장애인 참여 확대’**를 위해 복지일자리 1,600개를 심한 장애인 전용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게 이 일자리가 원활히 운영되도록 적극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 참여자 모집, 11~12월 중 지자체별 진행

2026년도 장애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는 11월부터 12월 사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모집하며, 소득수준·장애 정도·참여경력 등을 고려해 면접을 통해 선발된다. 선발된 참여자는 202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 복지부 “장애인 자립의 출발점, 지자체 관심이 핵심”

김민정 보건복지부 장애인자립기반과장은 “장애인일자리 사업은 장애인이 스스로 자립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출발점”이라며, “그 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지자체의 관심과 참여이며, 정부도 현장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