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공연·스포츠 경기·페스티벌 등 인기 티켓을 노린 암표 거래와 불법 대리 예매 행위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단순한 질서 위반을 넘어 국민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하며 부당 이익을 챙기는 행위로, 정부가 강도 높은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 암표업자, 이제는 ‘조사 대상’이다
국세청은 온라인 플랫폼과 중고거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상습 암표업자들을 주요 조사 대상으로 지목했다.
특히 인기 콘서트나 경기 티켓을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대량 확보해 고가에 되파는 행위가 집중 단속 대상이다.
또한, 티켓 구매를 대신해주는 대리 예매(일명 ‘대리 티켓팅’) 업자와 불법 예매를 가능하게 하는 매크로 프로그램 판매자, 그리고 ‘온라인 새치기’를 유도하는 직접 예약링크 판매업자 등도 세무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 탈세와 불법 거래의 연결고리
이들 암표업자들은 거래 내역을 숨기거나 차명계좌를 이용해 소득을 신고하지 않고 세금을 회피해온 것으로 조사당국은 보고 있다.
단순한 소비자 간 거래로 보이지만, 실상은 불법 이익을 목적으로 한 상습적 탈루행위라는 점이 이번 조사 착수의 배경이다.
■ 정부 “관행적 불법, 반드시 근절할 것”
국세청 관계자는 “국민의 정당한 예매 기회를 가로채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행위는 더 이상 묵과하지 않겠다”며 “암표 거래 구조를 뿌리부터 차단하고 세금 탈루까지 철저히 추적하겠다”고 밝혔다.
정당한 기회를 돈으로 거래하는 순간, 문화의 가치는 무너진다. 이번 조사가 ‘암표 없는 공정한 티켓 시장’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