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정책 실현을 위해 지역사회와 머리를 맞댔다. 시는 지난 27일 **익산시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2025 익산시 사회복지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익산시 복지 담당 공무원과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사업의 전면 시행(2026년 3월)을 앞두고 ‘익산형 돌봄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세미나는 익산시사회복지협의회와 익산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공동 주관했으며, 김민수 익산시 노인복지과장의 주제 강의로 시작됐다.
김 과장은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사업과 익산형 돌봄체계 방안 모색’을 주제로 발표하며, 지역의 돌봄 수요에 맞춘 민·관·학 협력 모델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각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시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영주 익산시사회복지협의회 회장은 “의료·요양·돌봄 서비스의 통합적 접근은 시민 중심의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이라며 “이번 세미나가 지역 복지공동체를 더욱 견고히 하는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나은정 익산시 복지국장은 “익산시는 민관 협력과 소통을 바탕으로 복지정책의 질적·양적 성장을 이뤄왔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익산형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실질적 방안이 도출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복지는 행정의 손이 닿지 않는 곳까지 닿을 때 완성된다. 익산시의 이번 세미나는 복지의 현장성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민한 ‘실천형 토론회’로, 시민 중심 복지의 방향을 제시했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