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와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이 오는 11월 11일부터 2026년 2월 22일까지 특별 테마전시 **‘바다 너머 세상을 본 조선 상인, 표류인 문순득’**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조선 후기 해상무역과 표류문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며, 역사와 기술이 만나는 체험형 콘텐츠로 꾸며졌다.
문순득(文順得, 1777~1847)은 조선 후기 흑산도 출신의 홍어 장수로, 1801년 출항 도중 폭풍을 만나 일본 오키나와, 필리핀, 마카오 등지를 거쳐 3년 2개월 만에 귀향한 인물이다. 그의 여정을 기록한 『표류인 문순득 일기』는 조선시대 최장 거리·최장 기간 표류 기록으로, 당시 동아시아의 문화·경제·외교 관계를 생생히 보여주는 귀중한 해양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전시의 핵심은 ‘인공지능(AI) 문순득’과의 실시간 대화 체험이다. 관람객은 문헌 기록을 기반으로 학습된 AI 문순득과 대화를 나누며 200여 년 전 표류 여정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폭풍에 휩쓸리는 순간을 생동감 있게 표현한 **미디어아트 작품 ‘파도를 건너서’(제주한라디지털아트뮤지엄 소장)**와 함께, 필리핀 관광부 한국사무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이 출품한 당시 동남아 현지 유물도 함께 전시된다.
김명진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관은 “이번 전시는 한자 고문서로만 존재하던 표류기를 AI 기술로 재해석해 생생한 이야기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우리 해양문화유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국민의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200년 전 조선 상인의 항해가 인공지능과 만나 다시 항로를 연다. 문순득의 표류기는 과거의 기록이 아닌, 오늘날 우리가 바다와 세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이 되고 있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













